1월 31일 중국 철강재 일일 내수가격(상하이 기준)이 일부 품목에서 하락을 보였다.품목별로 중후판, 아연도금강판이 전일대비 톤당 20위안, 냉연강판이 톤당 40위안, 열연코일이 톤당 80위안 하락했다. 나머지는 전일 수준을 유지했다.
1/31 조달청 원자재 판매 고시가
30일 중국 당산의 Q235 150mm 빌릿 공장출하가격은 톤당 3,900위안을 기록하며 전거래일 대비 톤당 80위안 상승했다. 창고현물가격의 경우 톤당 3,950위안이었다.춘절 연휴가 끝나고 공장출하가격은 28~29일 동안 톤당 50위안, 30일 톤당 30위안씩 꾸준히 오른 반면, 창고현물가격은 28~29일 톤당 30위안 상승했으나 30일 톤당 10위안 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1월 26일 기준 당산 빌릿 재고는 130만 톤으로 전주 대비 30.4%(30만 5,500톤)증가했다. 이는 2022년 춘절 직후 대비 88만 4,3000톤
독일 SMS그룹은 TISCO가 중국 산시(山西)성 타이위안(太原)에 위치한 신규 후판 공장에서 첫번째 후판을 성공적으로 생산했다고 24일 밝혔다.TISCO는 2021년 2월부터 열연공장 1개소를 중후판공장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세계 500대 기업인 중국 MCC그룹 소속 건설시공업체 MCC20과 독일 엔지니어링 업체 SMS그룹이 참여했다.이번 전환 작업을 통해 TISCO는 두께 5~120mm, 폭 1,550~4,300mm의 후판을 생산할 수 있다. 생산가능했던 후판 최대 폭 역시 2,000mm에서 4,300mm로 늘어나게 됐
열연가격 '700달러'까지 오를 수 있을까1월 넷째주 인도의 열연코일 수출가격은 음력 설(2023년 1월 21~27일) 전 톤당 630~680달러(FOB)에서 음력 설 기간 동안 톤당 630~710달러(FOB)로 상승했다.EU향 오퍼는 톤당 750달러(CFR), UAE향 오퍼는 톤당 670~680달러(CFR)로 전주 대비 톤당 20~30달러 올랐다.인도 업체들은 달러 대비 환율 개선과 베트남 포모사와 중국 판매자들이 3월 주문분까지 물량을 모두 소진하고 음력 설을 맞아 시장을 떠났기에 공급이 제한됐다는 점 때문에 오퍼가격을 상향할
상하이강롄(上海钢联,Mysteel)은 철근, 선재 등 2023년 중국 건설강재 생산량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전년 대비 감소하겠으나 감소 폭은 2022년 6.8% 대비 다소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2023년 중국 건설강재 생산량 전망치는 전년 대비 1% 감소한 4억 600만 톤이었다.동 기관은 올해 중국 건설강재 생산량 감소세가 중국 정부가 2023년 중국 조강생산량을 2022년 이하 수준으로 통제하려는 움직임에 기인했으나, 메이커들의 자발적인 감산이 더 큰 요인이라고 언급했다.2022년 생산량이 전년 대비 7.3% 감소했던 철
1월 30일 중국 철강재 일일 내수가격(상하이 기준)을 살펴보면 , 주요 품목 가격이 일제히 상승세를 기록했다.품목별로 열연코일이 전일대비 톤당 20위안, 앵글, 채널이 톤당 30위안, 컬러강판이 톤당 50위안, 고장력선재가 톤당 80위안, 철근, H형강, 아연도금강판이 톤당 90위안, 냉연강판이 톤당 100위안, 중후판이 톤당 110위안 상승했다.나머지는 전일 수준을 유지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아하 산업부)는 1월 30일 친환경선박 기술개발 지원 계획을 담은 「2023년도 친환경선박 개발시행계획」을 발표한다.동 계획은 「환경친화적 선박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 및 ‘제1차 친환경선박 개발·보급 기본계획(2021~2030)’에 근거하고 있다.정부는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저감 국제규범 강화로 친환경선박 등 미래 조선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조선산업 생태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동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세계 친환경선박 발주비중은 2019년 29.9%에서 2020년 30.4%, 202
에너지 전문 리서치 업체 BloombergNEF(BNEF)는 신규 보고서를 통해 2022년 전 세계 저탄소 에너지전환에 1조 1,000억 달러가 투자됐으며, 이는 기록적인 수치이자 전년 대비 큰 폭의 가속 성장으로 에너지 위기와 정책 이행이 청정에너지 기술의 보급을 앞당겼다고 분석했다.또한 처음으로 저탄소 기술 투자가 화석연료에 투입된 자본과 동일한 수준에 도달했으며, 향후 청정에너지 기술 투자가 화석연료 투자를 조만간 앞지를 것으로 예측했다.‘에너지전환 투자 트렌드(Energy Transition Investment Trends)
1/30 조달청 원자재 판매 고시가
미국 뉴코어는 2022년 4분기인 연결기준 순이익이 12억 6,0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25.4%,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했으나 2022년 전체 순이익은 76만 1,000달러로 전년 대비 11.4%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4분기 실적 부진했으나 예상치 상회···올해 1분기 실적 낙관2022년 4분기 매출은 87억 2,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했다. 반면 2022년 매출은 415억 1,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4% 증가했다.2022년 4분기 톤당 제품 평균판매가격은 전분기 대비 7%, 전년 동기 대비
※중국 춘절연휴(2023년 1월 21일~27일) 동안 철강 재고·생산·소비·가격·조업도 데이터가 안 나와 주간 [중국시황] 기사는 한 주 쉬어가며, 해당 기사로 갈음합니다.2022년 중국 철강 완제품 수출량은 전년 대비 0.9% 증가한 6,732만 3,000톤으로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상하이강롄(上海钢联, Mysteel)은 2022년 중국 철강 수출을 돌아보고 2023년을 전망하고자 한다.열연이 2022년 중국 철강수출에 크게 기여 상하이강롄은 2022년 중국 철강수출 증가세는 2분기 수출 급증에 기인한다고 전했다. 특히 5
닛폰스틸(日本製鉄), 미쓰비시(三菱)상사, 엑손모빌(ExxonMobil)이 아시아태평양 CCS(탄소 포집·저장) 가치사슬 구축에 대해 공동 연구한다고 26일 밝혔다.삼사는 지난 25일 체결한 MOU에 따라 닛폰스틸의 철강 공장에서 배출되는 CO2 포집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필요한 인프라 개발에 대해 평가할 예정이다.이는 일본의 탄소 포집 및 해외 저장을 위한 가치사슬을 개발하는 첫번째 연구로서,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호주를 포함한 아태 지역의 탄소 저장 역량과 기회에 대한 평가도 포함된다. 프로젝트 시작일 및 세부사항 등은 논의
1/27 조달청 원자재 판매 고시가
춘절 연휴 동안 주요 합금철인 몰리브덴, 페로크롬, 페로실리콘 가격 ‘희비’가 엇갈렸다. 연휴 중에도 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건 몰리브덴이다. 반면 페로실리콘 가격은 하락세로 전환됐다. 페로크롬의 경우 보합 속 다음 가격 향방을 가늠 중에 있다. 몰리브덴 가격, 14.5년 만에 최고가고장력강과 스테인리스 부원료인 몰리브덴의 국제가격이 이번 주 14년 반 만에 최고가를 기록했다. 수급 타이트 불안감이 해소되지 않는 가운데 유럽 시장에서의 가격 상승세가 아시아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는 모양새다.이번주 삼산화몰리브덴 국제가격은 파운드당
2023년 네번째주는 춘절 연휴(2023년 1월 21일~27일)가 걸쳐져 있어 중국 철강시장은 휴장했다.일부 플레이어들은 춘절 이후에도 리오프닝 기대감은 지속되겠으나 코로나19 확산 추세, 철강 재고소진, 소매판매·주택거래 회복 여부 등이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 제목 클릭 시 해당 기사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춘절 후 중국 특수강 시장 어떻게 흘러갈까?상하이강롄(上海钢联,Mysteel)은 춘절 연후 후 중국 특수강 가격이 약보합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휴 후 3주차부터 중국 특수강 재고가 소진되겠으나 그때부터 메이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방역정책을 완화한 후 리오프닝 기대감이 커지면서 원유, 구리 등 원자재 가격은 상승하고 있다. 이 가운데 철광석은 중국에서의 수입량 증가를 바탕으로 가격이 오르는 중이다.Argus Media 기준 62%Fe 철광석 현물가격은 춘절 직전 1월 20일 톤당 126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연초 대비 7.1% 상승한 것이며, 지난해 10월 31일 최저치 톤당 79달러 대비 59.5% 급등한 가격 수준이다.1월 중국 철광석 수입량 1억 톤 초과 전망2022년 12월 중국 철광석 수입은 9,086만 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현지 보도에 따르면 인도 JSW스틸, 룩셈부르크 아르셀로미탈, 러시아 NLMK 등 3대 철강사가 영국 리버티스틸의 벨기에 Flémalle 과 Tilleur공장 인수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벨기에 Flémalle 과 Tilleur공장은 석도 및 아연도금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두 공장의 월 강재 생산규모는 도합 약 11만 톤이다.현지에서는 인수 의사를 드러낸 철강업체는 JSW스틸 뿐이며 아르셀로미탈은 언론 문의에 대한 답이 없었다고 전했다. 또한 철강업체는 아니지만 벨기에 인산염 제조업체 Prayon도 인수 의향을 드러내기
1/26 조달청 원자재 판매 고시가
열연 가격 급등···수용력은 ‘글쎄’음력 설 연휴 전 베트남 수입 열연코일 가격은 급격히 상승했으나 다수 바이어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모양새다.중국 철강사들은 SAE1006 열연코일 오퍼가격을 주중에 톤당 655~660달러(CFR)에서 톤당 675~690달러(CFR)까지 올렸다.대부분의 오퍼는 명목상으로 올라와 있으며 공급자들은 연휴 전 마지막 날까지 거래를 진행할 생각이 없으나, 일부 소규모 거래는 성약된 것으로 알려졌다.주 중반까지 SS400 열연코일 오퍼가격은 톤당 630달러(CFR)수준이었으나 (타 1급밀 대비) 비교적